목록피 (3)
Rangni:랑니=너를
신비한 우리의 몸 1. 감기에 걸리면 왜 몸에 열이 나나요? 감기에 걸리면 열이 나는 것은 백혈구가 많이 생기고 있기 때문이랍니다. 백혈구는 생길 때 열이 난다고 하네요. 억지로 열을 내리기보다는 찬 얼음주머니를 이마에 얹어 두거나 찬 물수건으로 손발을 닦는게 좋답니다. 2. 숨을 들이쉬면 공기는 어디로 가나요? 공기는 목구멍을 지나 가슴 양쪽에 있는 허파로 들어갑니다. 허파는 공기에서 산소를 흡수하여 온몸으로 보내고 공기 지꺼기인 이산화탄소를 걸러내서 걸러낸 이산화탄소는 숨을 내쉴 때 나온답니다. 허파에 바람이 들었나? 실없이 웃거나 행동하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로 허파는 두 겹의 얇은 막이 감싸고 있는데 이 두 막 사이에 바람 즉 공기가 찰 수 있는데 허파가 아프고 숨이 차며 숨을 쉬기 힘들어지면 병..

신비한 우리의 몸-피 1. 피는 어디에서 만들어지나요? 태아일땐 간, 지라, 편도선 등에서 피가 만들어지지만 태어난 뒤에는 가슴뼈, 등뼈, 골반뼈 등의 골수에서만 만들어져요. 몸속에 들어있는 피의 양은 4~6리터 정도인데 전체 피의 1/3 이상을 흘리면 죽을 수도 있답니다. 2. 피는 무슨 일을 하나요? 피는 혈장이라는 노랗고 맑은 물속에 혈구가 떠있는데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이 되어 있답니다. 혈장은 영양분을 전해 주고, 필요없는 찌꺼기는 밖으로 내보내며 적혈구는 산소를 나르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며 백혈구는 세균을 죽여 우리 몸에 병이 생기지 않게 하고 혈소판은 피를 굳게 해서 상처를 아물게 하는 일을 한답니다. 3. 피는 왜 빨간색인가요? 적혈구 속에 헤모글로빈이 있는데 헤모글로빈은..

신비한 우리의 몸-소화 1. 우리가 삼킨 음식은 어떻게 될까요? 삼킨 음식은 목구멍을 넘어 식도를 지나 위로 내려갑니다. 위는 음식이 들어오면 음식물을 죽처럼 만들어주고 죽이 된 음식물은 작은 창자로 들어가서 더 잘게 부수고 작은 창자는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분과 물기를 빨아들인 뒤 음식물을 큰 창자로 보내고 큰 창자는 음식물에 남아 있는 물기를 더욱 빨아들인 후에 남은 음식물 찌꺼기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데 바로 똥이랍니다. 2. 음식을 많이 먹으면 왜 소화가 안 되나요? 소화가 잘 되려면 위벽이 활발히 움직여서 음식물을 주물러야 합니다. 기분이 우울하거나 긴장을 많이 했을 때는 위벽이 잘 움직이지 않고 칭찬을 들어 기분이 좋거나 적당히 운동을 했을 때는 이가 활발히 움직인답니다. 음식을 먹었을 때도 적..